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주질환의 증상과 징후 완벽정리

by 보리리 2023. 1. 16.
반응형

1. 치주낭 (periodontal pocket)

치주낭이란 치은열구가 병적으로 깊어진 것으로 치주질환에서 중요한 임상양상중의 하나이다.

1) 증상과 징후

치주낭의 위치와 그 정도를 결정하는 가장 믿을 만한 방법은 각 치아면을 따라 치은변연을 조심스럽게 탐침하는 것인데, 다음의 임상적 양상들은 치주낭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증상들이다.

 

1. 노출된 치근면과 함께 치은연하치석이 보이고, 치은이 발적, 변색, 종창을 나타내며, 탐침 시 치은출혈이 있을 때

2. 치은변연은 치아 표면에서 분리되고 때로는 치간 치은의 협설측 연계성이 상실되었을 때

3. 치은변연의 측방벽을 누를 때 화농성 삼출액이 나올 경우

4. 치아의 동요, 이동, 또는 전치부 이개현상이 있는 경우

5. 치아표면에서 분리되어 청적색의 변연치은의 비대가 있는 경우

 

치주낭은 을반적으로 통증이 없으나 다음과 같은 증후를 나타내기도 한다.

-음식을 먹고 난 후 국소적 동통이나 압박감

-뜨겁거나 찬 것에 대한 과민한 반응

-치은이 근질근질하여 쑤시고 싶은 느낌

-치간부위에 이물질이 끼어 빼내고 싶은 느낌

-골내부로 확산되는 둔통

-국소 부위의 구취

 

2. 치은퇴축

생리적 혹은 병적으로 치은변연의 근단이동이 일어나 치근면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를 말한다. 치아 전체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한 개 또는 몇 개의 치아에 국한되어 나타나기도 하는데, 치은퇴축 자체를 생리적 현상으로 받아들이기도 하고, 치주질환의 결과로 이해되기도 한다. 그러나 1mm 이상의 치은퇴축은 생리적이라기보다는 병적으로 생가가여야 할것이다.

 

치은염증으로 낭이 형성되면 치은퇴축을 일츠켜 치근노출이 생긴다. 퇴축은 일반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모든경우에 다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낭의 깊이와 관련이 있다. 퇴축의 정도는 낭 기저부의 위치와 관련이 있는데 같은 깊이의 낭이라도 다른 정도의 퇴축을 일트키기도 하며 다른 깊이의 낭이 같은 정도의 퇴축을 일으킬 수도 있다.

 

치은의 실제위치는 치아에 대한 상피부착의 정도이며 소견성 위치는 치은연 정상의 치아에 대한 위치를 의미한다. 치은의 실제 위치가 치은 퇴축 정도의 심도를 결정하며, 2가지 type이 있는데 이는 직접 관찰 가능한것과 탐침을 상피부착부에 삽입하는 것으로만 관찰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 두가지 양의 합이 치은퇴축의 총량이 된다.

 

1) 치은퇴축의 원인

1. 잘못된 칫솔질 방법

2. 치조골 상실 : 치조골의 상실은 그 부위의 치은퇴축의 원인이 된다.

3. 비정상 치아-치조골 관계 :  치아가 협측이나 순측으로 위치하면 치밀골이 얇아지므로 치은퇴축의 원인이 된다.

4. 외상성 교합

5. 교정력 : 교정력, 밴드, 철사 등이 치은을 자극하여 퇴축이 일어난다.

6. 이상소대부착, 기계적 외상 및 자극이나 국소적 자극

7. 치주수술 및 질환의 결과, 정신 신체요소 등

8. 연조직 마찰

 

3. 치은이개부 병소

이개부 병소란 다근치의 이개부가 치주질환으로 인하여 노출된 경우를 말한다. 하악 제1대구치에 가장 빈발하며, 상악 소구치가 가장 발생 빈도가 낮다. 연령증가에 따라 이개부 병소 발생빈도가 높아진다. 원인으로는 분지부에 법랑돌기나 보조관이 존재하는 경우이며 특히 이때 근,원심의 골이 건정한 경우 조심스럽게 탐침하여 조사할 수 있다.

1) 임상증상

이개부 병소의 심도에 따라 눈으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고, 치주조직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치주낭 측정기나 탐침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공기를 불어 넣어 확인할 수도 있다. 치아는 동요도가 있을 수 있고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다. 그 밖의 증상으로는 온도에 만감한 반응, 타진반응, 치수변화에 의한 재말 또는 지속되는 동통, 급성 혹은 만성 치주농양 형성 등이 있다.

 

4. 치아동요 및 병적 치아이동

치아는 정상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동요한다. 단근치가 다근치보다는 훨씬 동요하기 쉽다. 측 절치가 가장 많이 동요한다. 일반적으로 동요는 수평방향으로 일어나지만 간혹 수직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치아는 생리적으로 동요하는데 이 경우 동요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 다르고 같은 사람에서도 시간, 상태마다 다르다.

 

즉 기상 직후에 심하며 낮에는 감소되고 비교적 아무 습관이 없고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진 사람이 이갈이 등 나쁜 습관을 가진 사람보다 동요도가 덜하다. 그러나 치주조직에 염증이나 질환으로 인해 치아의 동요가 심해지면 이로 인해 치아가 병적이동을 하게 된다.

반응형

댓글